본문 바로가기

[영어파닉스] 교육부 지정 초등 영단어 800개의 발음정리 - 모음a (1)

by 큰불 2024. 4. 6.

초등영단어 발음 a


 필수 초등 영단어 중에서 모음 a에 강세가 있는 단어들

 

찾아보니 필수 초등 영단어가 있길래 발음을 분류해 봤습니다. 이 글은 발음에만 초점을 맞춰서 단어들을 분류했기 때문에 단어의 뜻을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제가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이 아니라 확실하지 않고 헷갈리는 것도 있었습니다.

 

발음을 적을 때는 / / 속에 넣었고, 한글로 쓴 것은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단어들을 a → z로 순서로 적는 것이 아니라 강세 있는 모음에 따라서 분류했습니다. 

이번 편에는 모음이 a이거나 ai, ay, au, aw처럼 a로 시작하는 모음이 속해 있습니다.  

 

쉬운 단어들인데 발음상 예외로 생각해야 하는 것들이 많아 영어발음에 규칙이 없다고 오해를 일으키는 단어들이 많네요.


 

모음 a의 단모음

□  1음절 단어  ; 뒤에 자음 1개

bat cat at fat
hat that cap map
back background black add
glad bad,  sad   dad flag

* 모음 뒤가 자음으로 막혀 있으면 단모음으로 발음합니다. 모음 a 단모음의 발음기호는 /æ/이고 /애/로 읽습니다. 

 

* 영어의 자음 중에서 stop음에 속하는 [ p t k, b d g ]가 모음 뒤의 올 때의 발음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 자음이 stop음 중에서 무성음인 [ p t k ]가 올 때의 발음은 한글의 받침음 소리처럼 혀를 그 위치에 대기는 하지만 공기를 밖으로 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bat은 /뱃/, map은 /맵/, black은 /블랙/으로 읽습니다.

 

* 유성음인 [ b d g ]가 모음 뒤에 붙을 때도 똑같이 공기를 뱉지 않습니다. 그래서 bad의 발음에서 d를 /드/로 읽지 않습니다.  ( 문장 속에서 뒷 단어와 연결되면 /d/소리가 들릴 수는 있다. )

 

* 똑같이 한글의 받침소리처럼 [ 무성음, 유성음 ] 둘 다 공기를 내뱉지 않으면 어떻게 구분하지?' 라는 생각이 들어야 하는데, 모음 소리 길이에 차이를 주는 방식으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back, bag를 예로 보면 back은 모음 뒤에 바로 무성음 /k/를 붙여서 모음 소리가 짧고, bag은 a를 살짝 길게 끌어서 /배~g/처럼 발음해 상대적으로 깁니다.

 

 

 

bath bathroom pass glass
class classroom grass  
have can man fan
plan hang cash catch

* bathroom, classroom처럼 합성어는 [A+B] 각각을 발음해서 붙이는 식인데 명사는 상대적으로 앞의 단어를 강하게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모음이 단모음일 때 동음자음을 2개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 자음 s, l, f, z ] 로 끝날 때입니다. 

 

* 앞이 단모음일 때 back의 ck, catch의 tch, badge의 dge도 소리 나지 않음에도 자음을 앞에 넣어줍니다. 실제로 소리 나지 않기 때문에 catch의 발음은 /캩취/로 발음하지 않습니다. 다만 ch의 소리의 발음기호 /tʃ/ 속에 /t/가 있기 때문에 /애/ + /tʃ/를 연결하면서 살짝 멈추는 느낌이 있습니다.

( 앞에 붙이는 t와 d는 발음기호 속 / tʃ/, /dʒ/의 앞에 있는 것과 같음. )

 

* hang, bank, thank처럼 n 뒤에 자음 / g, k /가 있으면 n을 한글의 /ㅇ/받침과 같은 /ŋ/소리로 변화시킵니다.

 

* 조동사 can, 전치사 at, 접속사 that은 weak form이 있어서 모음을 약화시킨 /ə/으로 발음할 때가 많습니다. 

 

* 일반동사 have는 '모자e'로 끝나지만 단모음인 /애/로 발음하는 단어입니다. have가 조동사라면 축약되어 제대로 발음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  1음절 단어  ; 뒤에 자음 2개

act fact last fast
ask and bank chance
band land hand sand
stand brand pants ant
branch dance thank plan, than

* 영어의 음절 수는 모음을 기준으로 셉니다. act, ask를 한글처럼  /액트/, /에스크/로 생각해서 음절을 계산하면 안 되고, 모음 a가 하나이니 1음절로 생각합니다.  영어는 모음 뒤에 자음이 2개 붙을 수 있습니다. 

 

* act, fact처럼 stop음 c, t가 연속될 때는 앞의 /k/를 한글의 받침음처럼 발음하고, 뒤의 t는 true t로 발음합니다.

 

* and는 fish and chips처럼 weak form으로 발음하면 앞의 자음에 /은/소리를 바로 붙여 /피슌췹/처럼 들립니다. 

 

 

 

■ 2음절 단어

after anger answer
apple battle castle
happy candy any
many handsome  giraffe

* 2음절 명사인 단어는 앞에 강세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 자음의 개수에 따라서 '단모음, 복모음'이 나뉠 때는 끝이 -er, -le, -y로 끝날 때입니다. 모음 뒤에 happy는 pp가 2개이므로 '단모음'이고, baby는 b가 1개이므로 '복모음'으로 발음합니다.  

 

* battle처럼 t가 모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 flap t인 /ㄹ/로 발음됩니다. ( -le도 모음처럼 음절로 생각함. ) 

 

* any, many는 단모음이기 때문에 예외로 잘 기억해 둡니다.

 

 * answer의 w는 묵음이라서 /앤써r/로 발음하고, castle, whistle의 stl의 가운데 t는 묵음이라 /캐쓸/로 발음됩니다. handsome의 d가 3개의 자음의 가운데라서 묵음이고 /핸썸 or 핸씀/처럼 발음합니다.  giraffe는 뒤에 강세가 있는 단어입니다. 

 

 

accent exam example 
travel palace captain
habit rabbit basket,
basketball

 

 

* 강세가 없어도 schwa 시키지 않고 '강강'으로 발음할 때가 있는데 accent처럼 [라틴계 접두사+어원]인 2음절 명사는 뒷부분을 강세가 있을 때처럼 읽을 때가 많습니다.

 

* exam, example처럼 접두사에 e가 들어간 단어들은 경험상 명사일 때도 뒤에 강세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 모음 뒤에 자음이 1개더라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 생각에는 <프랑스어 → 영어>로 유입된 단어인 것 같습니다. ( 자음이 2개면 고민할 것도 없이 단모음. )

 

* 자음이 1개일 때도 첫음절의 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할 확률이 높은 단어는 끝이 -it, -id인 단어들입니다.  

 

* palace의 끝 부분이 a c e인데 이렇게 [모음+자음+e = 모자e]로 끝나는 경우에도 첫음절을 단모음으로 발음할 확률이 높습니다. ( 2음절이든, 3음절이든 )

 

 

■ 3음절 단어

academy battery factory family
accident animal congratulate fantastic
mathematics understand calendar  

*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y로 끝나는 3음절 이상의 단어들은 아래처럼 생각하면 맞을 때가 많습니다. 

 

* -y부터 시작해 모음 앞에 /를 2번 긋고 그 앞 모음에 강세가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acad/em/y 이므로 a에 강세가 있고 뒤에 d가 막고 있으므로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variety는 vari/et/y이므로 모음 i에 강세가 있고, 뒤에 자음이 없으므로 복모음으로 발음합니다. 
( 접미사인 -ary, -ory를 기준으로 강세를 생각해야 할 때 안 맞을 수 있음. )

 

* 명사이지만 accident는 -ent로, animal은 -al로 끝나는 단어라고 생각하고 규칙을 적용하면 맞습니다. congratulate도 -ate로 끝나는 단어이기 때문에 쉽게 강세를 찾을 수 있습니다.

 

* -ic로 끝나거나, -ics로 끝나는 단어들은 접미사 바로 앞 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합니다. 

 

* understand처럼 독일계 접두사로 시작해도 품사가 동사인 단어는 뒤에 강세가 있습니다.

* calendar같이 규칙이 없는 단어는 기억력에 의존해야 하는데 첫음절에 강세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모음 a의 예외적인 발음 

- 모음 a는 뒤에 자음이 막고 있는데 /애/가 아닌 다른 모음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all always also
fall call tall
small ball wall
salt  walk talk
calm father  grandfather

* 모음 a 뒤의 자음이 dark L인 경우에는 /æ/로 발음하지 않고 /ɔ/로 발음합니다.
  ( 주로 1음절 단어 )

 

* 제 생각에 이렇게 되는 이유는 /æ/는 앞쪽에서 소리 나고,dark L은 뒤쪽에서 생기는 소리이기 때문에 /æ/ → dark L로 이동하는 게 발음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뒤쪽에서 소리 나는 모음인 /ɔ/로 바꾼 것 같습니다.

 

* also, always, almost는 al이 all과 관련 있으므로 /ɔ/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이 단어들은 앞에 강세가 있음을 기억해 두면 좋습니다.

 

* talk, walk도 똑같이 L이 뒤에 있어 모음 a가 /ɔ/로 발음되지만, -alk로 끝나는 단어는 dark L이 묵음입니다.

 

* calm, palm처럼 -alm으로 끝나는 단어는 a를 /아/로 발음하고 L은 묵음이라 발음하지 않습니다. 

 

* father의 a는 /아/로 발음하는 예외적인 단어입니다.

 

 

what want wash
water  watermelon watch

* 자음 w도 입 안 뒤쪽에서 나는 소리라서 인지 모음 a의 소리를 변화시킵니다. 이번에는 /æ/에서 바로 뒤의 소리인 /아/로 소리 냅니다. 

 

* what은 a를 /아/로 발음하거나 /ʌ/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 헷갈리는데 want, wash, water은 모음 a를 /ɔ/로 소리 내는 것도 맞는 것 같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howtosayengwords/pronouncing

 

 

영어발음만 디깅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전문교육은 받지 않았지만, 사전을 찾아보면서 미국식 영어발음의 공통점을 찾는 연구를 했습니다. 단어의 강세위치와 적절한 모음소리를 찾을 수 있는 패턴을 익히고 단어를 보자마자 발음을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