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영어 자음의 유성음과 무성음

by 큰불 2023. 3. 8.
반응형

유성음과 무성음 설명


유성음과 무성음은 성대울림의 차이다 

유성음과 무성음 조합

 위의 표는 영어의 자음을 발음되는 소리대로 기호로 분류한 표입니다. 

 

 첫째로 소리가 나는 위치에 따른 분류로 가로7개로 나뉩니다. 입술에서 목구멍까지 순서대로 적혀 있는데 각각에 무엇이 포함되는지는 세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입술위치에서 나는 소리는 < p, b, m, w>이고, 입천장 앞 위치에서 나는 소리는 < t, d, s, z, n, l >입니다.   

 

 둘째는 소리 내는 방법에 따른 분류로 세로6개로 나뉩니다. 각각에 무엇이 포함되는지는 가로를 보면 알 수 있는데 stop소리에 해당되는 소리는 <무성음 p, t, k와 유성음 b, d, g> 6개고, nasal은 < m, n, ŋ >3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셋째는 성대울림에 따른 분류로 소리 내는 분류입니다. 소리 내는 방법으로 분류한 것 속에서 유(有)성음, 무(無)성음이 각각 있을 때 나눠주는데 nasal, liquid, glide는 모두 유성음이기 때문에 나뉘지 않은 것입니다. 추가로 덧붙이자면 모음은 모두 유성음입니다.

 

 분류한 표를 자세히 보면 <자음p>는 stop음이고, 입술위치서 소리, 성음임을 알 수 있고, <자음 b>는 stop음이고, 입술위치서 나는 소리, 성음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음 p와 b는 소리 내는 방법과 위치는 같고, 성대떨림의 유무만 다른 하나의 set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한 상태에서 /s/와 /z/소리를 각각 한글로 /ㅆ/와 /ㅈ/로 발음하면 약간 부정확함을 느낄 수 있는데, 한글의 /ㅈ/의 소리는 /z/소리보다 혀가 닿는 위치가 약간 더 뒤에 있기 때문입니다.
( 같은 방법, 같은 위치에서 성대떨림의 차이만 존재해야 함.)


 

소리 내는 방법에 따른 분류를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1. stop음은 원래 plosive로 부르는데 전 외우기 쉽게 멈춤음이라고 부릅니다. (한글로 어려운 이름은 파열음
 이 소리의 특징은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이 끊기는 데에 있는데. /ㅍ,ㅌ,ㅋ/를 발음해 보면 소리를 내기 직전에 숨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막히는 느낌이 납니다. 외울 때 <p, t, k>와 <b, d, g>로 무성음, 유성음대로 나눠서 외워 줍니다. 

 

2. fricative는 '마찰음'입니다.
 stop음과 달리 완전 막히지는 않고 좁은 공간 사이로 공기가 흘러 나가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p와 f를 비교해 보면 p는 터지듯이 소리가 난다면, f는 소리 낼 때 약하지만 /(f)프으~/하는 소리가 먼저 들립니다. 나머지 발음기호 중에서 생김새가 ʃ 는 s가 길어진 것처럼 생겼고, ʒ는 z가 길어진 것처럼 생겼는데, 소리도 비슷합니다. 

 

3. affricative는 '파찰음'입니다.
 이름 그대로 '접두사 ad'+'fricatives' 마찰음에 뭐를 붙였다는 의미로 [파열음+마찰음]을 합한 것입니다. 발음기호 tʃ는 무성음끼리 더한 < t + ʃ >이고, dʒ는 유성음끼리 더한 < d + ʒ >입니다. 소리를 내보면 /tʃ/는 t처럼 공기의 흐림이 막혔다가 ʃ를 발음해서 /츄/처럼 들리는 소리입니다.

 

4. nasal은 '콧소리'로 비음과 관계된 3개의 소리가 있습니다. 

 

5. liquid는 '유음'이고 혀의 양 side로 공기가 흘러 나가는 소리입니다. 

 

6. glide는 '반모음'이고 공기의 흐름이 자유롭고 혀 위쪽으로 흘러 나가는 소리입니다.

 

※ 한글이든 영어로든 본인이 기억하기 쉬운 대로 외우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발음할 때 중요한 몇 가지 group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유성음과 무성음 

<멈춤음, 마찰음, 파찰음>을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눠서 외워야 하는 이유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s를 붙일 때 무성음 뒤에서는 /s/소리, 유성음 뒤에서는 /z/소리로 나뉩니다.

2. -ed를 붙일 때 무성음 뒤에서는 /t/소리, 유성음 뒤에서는 /d/소리로 나뉩니다. 

3. 무성음이냐, 유성음이냐에 따라서 모음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음절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은 stop음으로 끝날 때 중요한데, 특성상 끝 자음을 제대로 발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back이란 단어는 /배크/가 아니라 /뱈/처럼 발음합니다. ) 그래서 이럴 때 모음의 길이에 변화를 줘서, 유성음 bag를 back보다 약간 더 길게 발음해서 구별한다고 합니다.


 

● sibilants에 속하는 <s, z, ʃ, ʒ, tʃ, dʒ>  6개

이 6개의 소리는 /스~~~/에 가까운 소리들입니다. 여기에 -s를 붙이면 중복되므로 복수형으로 -es를 붙이고 /이z/로 발음해 줍니다.  ( es의 모음 e가 유성음이라 /z/로 발음된다고 생각. )


 

●  nasal, liquid 소리 

sonarant로 불리는 소리로 < n, m, r, l >이 중요합니다. 경험상 이 자음들 앞에 schwa음이 있으면 /어/로 발음하지 않고, /으/로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더 자연스럽습니다. 또 자음 cluster을 만들 때 조합되는 소리입니다.


 

● 입천장 앞 소리 

 여기에 속하는 [t d s z n l ]는 첫째로 미국식 발음에서 모음 u가 /u/일지 /yu/일지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둘째로 ion의 i를 어떻게 발음할지와도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  한글을 배울 때 자음을 표로 나눠서 굳이 외우지 않아도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는 않지만, 영어에서는 중요합니다. 가로로, 세로로 나눌 수 있어야 하고, 자음이 유성음과 무성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 것인지 바로 알아야 하는 정도가 돼야 합니다.

 

 이를 잘 알고 있어야 단어와 단어를 연결해서 읽을 때 똑같은 group의 소리가 나와서 겹치면 앞의 자음을 생략하는 것도 적용할 수 있고, 그래야지 문장을 읽을 때 자연스러운 속도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